연세대학교 신촌캠퍼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세대학교 신촌캠퍼스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에 위치한 연세대학교의 메인 캠퍼스이다. 1915년 연희전문학교로 시작하여, 언더우드, 스팀슨 등의 기부로 부지를 매입하고 건물을 건설했다. 현재 백양로를 중심으로 스팀슨관, 언더우드관, 아펜젤러관 등의 주요 건물과 언더우드 동상, 백양누리, 청송대, 노천극장, 백주년기념관 등의 시설이 위치해 있다. 캠퍼스 내에는 총학생회, 언론 단체(연세춘추, The Yonsei Annals, YBS), 응원단, 연극 동아리, 락그룹 등 다양한 학생 단체가 활동하고 있으며, 인문, 사회, 자연과학, 공학, 의학, 음악, 간호학 등 다양한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연세대학교 신촌캠퍼스 - [대학]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표어 | 진리가 너희를 자유케 하리라 |
표어 (원문) | 요한복음 8:32 |
설립 | 1885년 |
개교 | 1946년 |
종류 | 사립 종합 대학 |
총장 | 서승환 |
위치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로 50 |
규모 | 16대학 19대학원(신촌·의료원) |
학부 | 18,781명(신촌·의료원, 2011년) |
대학원 | 11,586명(신촌·의료원, 2011년) |
교원 | 3,814명(신촌·의료원, 2011년) |
직원 | 5,607명(신촌·의료원, 2011년) |
상징 동물 | 독수리 |
상징 색 | 연세 블루(Yonsei blue) |
학교 법인 | 연세대학교 |
종교 | 개신교 |
웹사이트 | 연세대학교 홈페이지 |
2. 연혁
연세대학교 신촌캠퍼스의 연혁은 연희전문학교 시절부터 시작된다. 초기 캠퍼스 부지는 조선 정종 때 세워진 연희궁 터와 영조의 후궁 영빈 이씨의 수경원이 있던 곳으로, '연희'라는 이름은 여기서 유래했다.
2. 1. 초기 역사와 기부
언더우드의 큰아버지인 존 토마스 언더우드(John Tomas Underwood)는 100000USD를, 로스앤젤레스의 찰스 스팀슨(Charles S. M. Stimson)은 대학 설립용 자금으로 25000USD를 연희전문학교에 기부하였다.[6] 언더우드는 미국에 돌아가서 교사 건립용 기부금 모금을 했는데 스팀슨에게서 위 기부금을 얻은 후 사망하였고, 후임 교장인 에비슨이 기부금으로 교사를 건립하였다.[6] 연희전문학교는 당시 경기도 고양군 연희면 신촌리의 숲이 울창한 토지 190320평을 매입하였다.[6] 이곳은 조선 정종 때 세워진 연희궁(延禧宮) 터와 영조(英祖)의 후궁 영빈 이씨(映嬪李氏)의 수경원(綬慶園)이 자리잡고 있었고, 학교명 ‘연희’는 여기서 연유하였다.[6] 캠퍼스 마스터플랜과 교사동 설계는 예일 대학교 건축과를 졸업한 미국인 건축가 헨리 머피(Henry Killian Murphy)에 의하여 작성되었다.[6] 현재의 백양로 등 신촌캠퍼스의 골격은 초기 마스터플랜에 의해 조성되었다.[6] 최초의 건물은 치원관(致遠館)이며, 목조 2층으로 1918년에 준공되어 1950년까지 있었다.[6] 치원관 이외에도 스팀슨관, 언더우드관, 아펜젤러관, 한경관 등이 준공되었으며, 기숙사인 핀슨관과 노천극장, 돌층계 등이 만들어졌다.[7]3. 캠퍼스 구조
현재 신촌캠퍼스는 990000m2 규모로, 백양로를 중심으로 양쪽에 다양한 건물들이 배치되어 있다. 백양로 오른편에는 연세의료원, 백주년기념관, 수경원, 루스채플, 음악대학, 학생회관, 대강당, 경영관, 노천극장, 청송대가 있으며, 왼편에는 연세공학원, 공과대학, 중앙도서관, 체육관, 체육교육관, 장기원기념관, 연세과학원, 과학관, 백양관, 광복관이 있다.[5]
백양로 끝에는 대학 본부인 언더우드관이 있고, 그 좌우로 스팀슨관과 아펜젤러관이 위치하며, 중앙에는 학교 창립자인 언더우드 동상이 있다. 스팀슨관 뒤편 언덕 위에는 한경관과 핀슨관, 신학관이, 언더우드관 뒤편에는 사회과학대학이 있는 연희관, 성암관, 유억겸기념관, 대우관 등이 자리 잡고 있다. 빌링슬리관은 유억겸기념관 뒤편 오른쪽에, 종합교실단, 외솔관, 위당관은 뒷산 중턱에 위치한다. 성암관 뒷길을 따라 동문 방향으로 가면 새천년관, 국제학사, 언어연구교육원, 제중학사가 있고, 대우관 뒤편 고개를 넘어 북문 방향으로 가면 무악학사(학생기숙사) 5개동이 있다.[5]
3. 1. 백양로와 백양누리

'''백양로'''(白楊路)는 원래 1930년경 만들어진 연희전문학교의 정문으로, 도로 양쪽에 백양목(白楊木)이 심어져 있었다. 1960년 4월, 나무의 수명이 다하여 베어졌고, 폭 22m의 아스팔트로 포장된 도로로 바뀌면서 양쪽에 은행나무가 심어졌다.[5] 2013년부터 백양로의 아스팔트를 걷어내고 지하에는 매장, 연회 공간, 주차장을 만들고 지상에는 보행자 통로를 만드는 공사가 진행되었다. 2015년 10월 7일, 백양로 재창조 봉헌식이 열렸다.
'''백양누리'''(The Commons)는 '백양로 재창조 프로젝트'를 통해 만들어진 지하 캠퍼스다. 국내 지하 캠퍼스 대표 사례로는 이화여자대학교의 ECC, 가천대학교의 비전타워 등이 있다. 백양누리에는 그랜드 볼룸, 최영 홀, 김순전 홀 등의 컨벤션 시설과 카페 겸 레스토랑인 '더 라운지'가 있으며, 한화푸드테크가 운영을 맡고 있다. 이 외에도 금호아트홀 연세, 스타벅스, 파리바게뜨, 잠바주스 등 프랜차이즈 브랜드 매장과 기념품 상점이 들어서 있다.
3. 2. 주요 건물
- '''스팀슨관'''(Stimson Hall) : 1920년에 지어진 2층 석조 건물로, 스팀슨의 기부금으로 건립되었다.[6] 초기에는 대학 본부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대학원과 대외협력처에서 사용 중이다.[6] 1981년 사적 275호로 지정되었으며,[8] 일제강점기 대학 캠퍼스 건물 중 최초의 석조 고딕풍 건물이다.[6]
- '''아펜젤러관'''(Appenzeller Hall) : 1924년 미국 매사추세츠주 피츠필드 시 제일감리교회의 기부금으로 지어진 2층 석조 건물이다.[9] 연희전문캠퍼스에서 두 번째로 건립된 건물로, 이학관(理學館)으로 사용되었다.[9] 현재는 사회복지대학원 등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1981년 사적 277호로 지정되었다.[8] 건물 명칭은 배재학당을 설립한 헨리 아펜젤러를 기념하여 붙여졌다.[9]
- '''언더우드관'''(Underwood Hall) : 1925년에 지어진 3층 석조 건물로, 연희전문학교 설립자인 언더우드를 기념하여 명명되었다.[10] 연희캠퍼스에서 스팀슨관, 아펜젤러관에 이어 세 번째로 지어진 석조 건물이다.[10] 초기에는 문과대학 건물로 사용되다가 1982년부터 대학 본부 건물로 사용되고 있으며, 사적 276호로 지정되었다.[11] 언더우드관은 백양로 끝에 위치하여 캠퍼스 내에서 시각적 정점을 형성하며, 보존 상태가 우수하여 역사적 가치가 크다.[10]
- '''언더우드 동상''' : 연희전문학교 설립자 언더우드의 동상은 1928년 교직원과 사회 인사들의 기부로 세워졌다.[5] 그러나 1942년 일제에 의해 전쟁 물자로 공출되었고, 그 자리에는 미나미 지로가 쓴 흥아유신기념탑이 세워졌다.[5] 1948년 두 번째 동상이 세워졌으나 한국 전쟁으로 파괴되었고, 1955년 현재의 세 번째 동상이 건립되었다.[12]
3. 3. 기타 시설
- 청송대(聽松臺) : 연세대학교 정문에서 백양로를 따라 캠퍼스를 오르며 노천극장을 끼고 돌면 마주하는 소나무 숲이다.[13] '소나무(松) 소리를 듣는다(聽)'는 뜻이다.[14] 청송대에서 동문쪽으로 향해 난 뒷길은 연희전문학교 시절부터 유명한 데이트 장소였다. 이양하의 수필 《나무》, 《신록예찬》 등의 모티브가 되었다.[13]
- 노천극장 : 1932년 밀러(Dr. Miller) 교수에 의하여 설계되어 1933년 5월에 준공되었다. 1957년 여름에 보수공사를 거쳤으며 현재의 노천극장은 동문들의 성금을 모아 1999년 5월 준공된 초현대식 건물로 성금을 낸 동문들의 이름을 대리석에 새겨놓고 있다.[5]
- 백주년기념관(百周年紀念館) : 연세대학교 창립 100주년을 기념하여 1988년 5월에 준공된 건물로 박물관과 콘서트홀로 구분하여 사용되고 있다.[15] 박물관은 1924년 설립되었으며, 1964년 공주 석장리 유적 발굴은 대한민국의 구석기 문화를 최초로 밝히는 계기가 되었다.[16] 박물관은 10개소의 전시실과 소강당, 4개소의 수장고로 이루어져 있다. 콘서트홀은 900여 명을 수용할 수 있는 객석과 휴게실을 갖추고 있다.[15]

4. 학내 단체
연세대학교에는 총학생회, 언론 단체(연세춘추, The Yonsei Annals, 연세 교육 방송국), 응원단, 동아리(연세극예술연구회, 소나기) 등 다양한 학내 단체가 있다.
4. 1. 총학생회
총학생회는 학교 당국과 독립적으로 학생들의 요구를 대외적으로 관철시키기 위한 학생자치기구이다. 연세대학교 총학생회는 18개 단과대학 학생회로 구성되어 있다.[18] 매년 선거로 총학생회가 선출되며, 2020년 현재 제55대 총학생회 ‘Mate’가 활동하고 있다. 학생복지처가 총학생회 활동 지원을 담당하고 있으며,[17] 학생 복지를 관장하는 기구로 학생복지위원회라는 별도의 기구가 존재하여 생활협동조합 운영, 생협장학금, 신촌판 택리지 발간, 특강 개설 등 다양한 일을 하고 있다.[18]4. 2. 언론 단체
연세춘추는 1935년 《연전타임스》라는 이름으로 처음 간행되었는데, 이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먼저 간행된 대학신문의 효시이다. 그 후 1946년 《연희타임스》와 1953년 《연희춘추》를 거쳐, 1957년 《연세춘추》로 이름을 바꾸면서 자리를 잡게 되었다. 연세춘추는 학기(한 학기에 약 12회, 방학 중 1회) 중 시험 기간과 그 다음 주를 제외한 매주 월요일에 발행하고 있으며, 2005년 9월 웹진 《연두》를 창간함으로써 인터넷 신문의 역할을 강화하였다.[19] 신문사는 미우관 302호에 있다.《The Yonsei Annals》는 1962년 《연세춘추》의 부속지로 최초 창간되었다. 1967년 1월에 발간이 중지되었다가 5개월 후 재발간되었으며, 1968년에는 《연세춘추》의 자매지로 승격되었다. 1970년부터는 본격적인 대학영자신문으로서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The Yonsei Annals》는 연 8회(3~6월, 9~12월) 매월 초에 발행된다. 2007년부터는 연세춘추사에서 분리되어 독립된 기관으로 운영되고 있다.[20]
연세 교육 방송국(YBS)은 1959년 체신부로부터 방송국 인가를 받아 대학방송국으로 개국하였다. 그 후 박정희 정권 당시의 정보통신법에 대학무선방송이 저촉된다는 이유로 호출부호와 주파수를 반납하였다. 현재 매주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아침, 낮, 저녁 세 차례(2시간 30분)에 걸쳐 캠퍼스 내에 설치된 스피커와 인터넷을 통하여 방송을 하고 있다. 5월 대동제 기간에 청송대에서 열리는 ‘숲속의 향연’, 9월 연고제 때 열리는 ‘연고연합방송제’를 개최하고 있다.[21]
4. 3. 응원단 및 동아리
연세대학교 응원단은 응원단장 1인 체제로 이어져 오다가 1960년대 말에 단장-부단장-총무 3인 체제로 거듭나면서 조직되었다. 응원단은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정기 및 비정기 연고전, 아카라카를 온누리에 등에서 응원을 담당한다. 응원단 출신 유명인으로 조풍연, 이만섭, 임성훈 등이 있다.[22]중앙 연극 동아리인 연세극예술연구회는 1920년대 연희전문학교 시절부터 시작되었고, 1953년 공식 발족한 단체이다. 지금까지 100회의 정기 공연과 58회의 소극장 공연을 통해 연세대학교뿐 아니라 대한민국 연극사에 큰 획을 그었다. 연세극예술연구회 출신 유명인으로 임택근, 오현경, 오태석, 명계남, 이대연 등이 있다. 1965년부터 5년마다 노천극장에서 동문합동공연을 올리고 있으며 매년 2번의 정기 공연과 2번의 소극장 공연을 한다.[23]
소나기는 1979년에 결성된 ‘마그마’를 주축으로 당시 연세대학교 락음악 연주자들이 모여서 활동을 하다 1986년부터 ‘소나기’라는 이름으로 활동하고 있는 연세대학교 최초의 락그룹이다. 정기 연고전 외에도 매년 5월 대공연, 11월 가을 공연 등 정기 공연과 학내 주요 행사 연주를 담당하고 있다. 소나기는 1990년 MBC 대학가요제에서 《누군가》라는 곡으로 대상을, 1995년 《엇갈림 속에서》라는 곡으로 은상을, 2001년 《청춘가》로 대상을 수상하였다.[24]
5. 개설 학과 · 전공
연세대학교 신촌캠퍼스는 학부와 대학원 과정을 모두 운영한다. 학부에는 여러 단과대학과 학과가 있으며, 대학원은 일반대학원, 전문대학원, 특수대학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5. 1. 학부 과정
구분 | 단과대학명 | 학과명 |
---|---|---|
문과대학 | 국어국문학과, 중어중문학과, 영어영문학과, 독어독문학과, 불어불문학과, 노어노문학과, 사학과, 철학과, 문헌정보학과, 심리학과 | |
상경대학 | 경제학부, 응용통계학과 | |
경영대학 | 경영학과 | |
이과대학 | 수학과, 물리학과, 화학과, 지구시스템과학과, 천문우주학과, 대기과학과 | |
공과대학 | 화공생명공학과, 전기전자공학과, 건축공학과, 도시공학과, 토목환경공학과, 기계공학과, 신소재공학과, 정보산업공학과, 컴퓨터과학과, 글로벌융합공학부 | |
생명시스템대학 | 시스템생물학과, 생화학과, 생명공학과 | |
신과대학 | 신학과 | |
사회과학대학 | 정치외교학과, 행정학과, 언론홍보영상학부, 사회복지학과, 사회학과, 문화인류학과 | |
음악대학 | 교회음악과, 성악과, 피아노과, 관현악과, 작곡과 | |
생활과학대학 | 의류환경학과, 식품영양학과, 주거환경학과, 아동가족학과, 생활디자인학과 | |
교육과학대학 | 교육학과, 체육교육학과, 스포츠레저학과 | |
의과대학 | 의예과, 의학과 | |
치과대학 | 치의예과, 치의학과 | |
간호대학 | 간호학과 | |
언더우드국제대학 | 국제학과, 경제학과, 문학과문화과, 정치외교학과, 생명과학공학과, 계량위험관리, 창의기술경영, 문화디자인경영, 융합과학공학부 |
5. 2. 대학원 과정
연세대학교의 대학원 과정은 일반대학원, 전문대학원, 특수대학원으로 나뉜다.[3]구분 | 설치 과정 |
---|---|
일반대학원 | 연세대학교 대학원 |
전문대학원 | 연합신학대학원, 국제학대학원, 정보대학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사회복지대학원, 경영전문대학원, 법학전문대학원, 의학전문대학원 |
특수대학원 | 교육대학원, 행정대학원, 공학대학원, 보건대학원, 언론홍보대학원, 법무대학원, 생활환경대학원, 경제대학원, 간호대학원 |
참조
[1]
웹인용
연세대학교 건학정신·이념
https://web.archive.[...]
연세대학교 홈페이지
2011-08-11
[2]
웹인용
학교 현황
https://web.archive.[...]
연세대학교 홈페이지
2012-03-26
[3]
웹인용
〈학교법인 연세대학교 정관〉, 《연세대학교 규정집》
https://web.archive.[...]
연세대학교
2011-12-03
[4]
웹인용
〈학교법인 연세대학교 정관〉, 《연세대학교 대학요람》
http://www.yonsei.ac[...]
연세대학교
2011-08-12
[5]
웹사이트
신촌캠퍼스 소개
http://www.yonsei.ac[...]
[6]
웹인용
서울특별시 서울문화재, 연세대학교 스팀슨관
http://sca.seoul.go.[...]
서울특별시
2011-08-12
[7]
웹사이트
연세의 공간
http://www.yonsei.ac[...]
[8]
서적
위의 책
[9]
웹인용
서울특별시 서울문화재, 연세대학교 아펜젤러관
http://sca.seoul.go.[...]
서울특별시
2011-08-12
[10]
웹인용
서울특별시 서울문화재, 연세대학교 언더우드관
http://sca.seoul.go.[...]
서울특별시
2011-08-12
[11]
서적
위의 책
[12]
뉴스
가장 오래된 동상 ‘延大언더우드상’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2007-05-07
[13]
뉴스
연세대 '청송대'
https://news.naver.c[...]
한국일보
2003-10-05
[14]
뉴스
도심속 사랑고백 "더 짜릿해요"
https://news.naver.c[...]
헤럴드경제
2004-12-06
[15]
서적
위의 책
[16]
웹사이트
박물관 소개
http://www.yonsei.ac[...]
[17]
웹사이트
학생복지처 소개
http://www.yonsei.ac[...]
[18]
웹사이트
자치단체 소개
http://www.yonsei.ac[...]
[19]
웹인용
연세미디어 연세춘추
https://web.archive.[...]
연세대학교 홈페이지
2011-08-12
[20]
웹인용
연세미디어 The Yonsei Annals
https://web.archive.[...]
연세대학교 홈페이지
2011-08-12
[21]
웹인용
연세미디어 연세 교육 방송국
https://web.archive.[...]
연세대학교 홈페이지
2011-08-12
[22]
웹사이트
응원단 역사
http://www.akaraka.o[...]
[23]
뉴스
중앙 연극 동아리 연세극예술연구회
https://web.archive.[...]
연세춘추 웹진 연두
2010-09-05
[24]
웹사이트
소나기 소개
http://www.rocksona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